본문 바로가기

Java

(19)
DAO DAO(Data Access Object) 1. 데이터베이스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입니다. 2. 데이터의 CRUD(CREATE, READ,UPDATE,DELETE) 작업을 시행하는 클래스 예시)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의 차이 //오버로딩 -- 메소드 중복정의 //매개변수의 타입 혹은 개수가 달라야 한다. //메소드 명은 같아야 한다. //리턴타입은 상관이 없다. //오버라이딩 - 메소드 재정의 //다 같아야 하나(메소드명,매개변수 개수와 타입, 리턴타입) //body만 달라야 한다.
추상클래스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 자바에서는 하나 이상의 추상 메소드를 포함하는 클래스를 가리켜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라고 합니다. 이러한 추상 클래스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특징인 다형성을 가지는 메소드의 집합을 정의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추상 메소드(abstract method)란 자식 클래스에서 반드시 오버라이딩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를 의미 추상클래스 : 추상메소드 + 일반메소드 추상클래스가 아닐시에 결과값: store1의 값인 coffee나온다. store2의 값인 coffee나온다. override를 제거했다고 생각했을시 store3의 값인 coffee나온다. 추상클래스 일시 https://sungwoon.tistory.com/58 [Java-자바]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특징의 상속 캐스팅(Casting) : 1. 타입을 변환하는것을 말하며 형변환이라고도 한다. 2. 부모와 자식간 클래스 간에는 서로간의 형변환이 가능하다. 핸드폰
get/set package ex02; //설계도 public class kakao { //필드 : 5개 private String nick; private String message; private String pickture; private long day; private String email; //메소드 : 3개 public kakao(String nick, String email) { //필드에 있는것을 초기화 해준다. //변수영역에 있는 필드에 매개변수로 전달된 값 복사 //객체 생성할때 1번만 생성가능하다. //필드 //메소드 this.nick = nick; this.email=email; } public void setNick(String nick) { this.nick = nick; } public S..
접근지정자의 종류 ● public : 1.모든 접근을 허용합니다. 2. 어떠한 클래스가 접근을 하든 모두 허용됩니다. ● protected : 1. 상속받은 클래스 또는 같은 패키지에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 default : 1. 기본 제한자로써 아무것도 붙지 않고, 자신 클래스 내부와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 ● private : 1.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2. 즉,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클래스의 구성 멤버 //필드 int fieldname; //생성자 ClassName() { ... } //메소드 void methodName() {...} 필드(Field) : 객체의 데이터가 저장되는곳 생성자(Constructor) : 객체 생성시 초기화 역할을 담당하는곳 메소드(Method) : 객체의 동작에 해당하는 실행 블록 도트(.)연산자 : 1. 객체 접근 연산자로 객체가 가지고 있는 필드와 메소드를 사용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2. ~에 있는을 뜻하기도 한다.
ArrayList 종류 3번예시 set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ArrayList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arrList = new ArrayList(); arrList.add("B"); arrList.add("C"); System.out.println(arrList); // [B, C] // 1번째 element 값 변경하기 ("B" -> "b") arrList.set(0, "b"); System.out.println(arrList); // [b, C] } } 4번예시 get System.out.println(list); // 리스트 전체 출력 System.out.println(list.get(2)); /..
ArrayList란? 의미 : 일반 배열과는 다르게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되는 객체를 만드는 클래스 타입 선언 : ArrayList 변수 = new ArrayList(초기 용량);